보도자료
(주)미래정보기술원은 고객님들의 만족을 약속합니다.
목록으로

[디지털타임스]공공데이터 확대 개방 나선다

조회수 7568

공공데이터 확대 개방 나선다

원천데이터 최대 보유 전자정부 시스템과 연계
전면개방 어려워… 방법 검토 

심화영 기자 dorothy@dt.co.kr | 입력: 2014-03-13 20:28
[2014년 03월 14일자 8면 기사]

                
안전행정부가 원천 데이터를 가장 많이 확보하고 있는 전자정부시스템과 연계해 공공데이터의 확대 개방에 나설 방침이다.

13일 안행부는 전자정부시스템의 데이터를 개방할 때 보안을 위해 `업무용시스템'과 `개방시스템'을 구분해 개방할 필요성에 대해 공감하고 있고, 현재 방법론에 대해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간 공공데이터 개방이 전자정부시스템과 연계되면 시너지를 낼 수 있다는 지적은 있어 왔다. 대부분 공공데이터가 전자정부시스템 안에 담겨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업무시스템인 전자정부시스템을 그대로 개방하기 어렵고 별도 공공데이터 개방 시스템 구축에는 필요한 예산확보를 위한 의사결정이 선행돼야 해 안행부는 방법론을 놓고 고민중이다.

안행부 창조정부조직실 관계자는 "실질적으로 전자정부시스템 내 공공데이터를 개방하려면 관련 시스템이 구축돼야 한다"면서 "현재 공공데이터포털에 관련 시스템을 붙여놓을 것인지, 개방을 위한 별도 시스템으로 `외부망연계중계서버' 등 기본적인 시스템은 갖추는 것 등 다양한 방법론이 검토되고 있다"고 말했다.

최근 안행부는 전자정부시스템인 `세올 행정정보시스템'에 담겨 있는 원천 데이터 중 지방자치단체에서 공통 관리하고 있는 음식점과 관광업소 자료를 공공데이터포털(data.go.kr)을 통해 일부 개방했다.

안행부 전자정부국 관계자는 "전자정부시스템의 로우데이터를 공개할 때 기초적인 것만 개방했다"면서 "전자정부시스템을 개방할 때 의사결정을 통해 어떤 항목이나, 업종 등을 임의로 지정해 그것만 추출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짜야 한다"고 말했다.

공공데이터전략위원회 관계자는 "지난 10년간 한국은 전자정부에 엄청난 투자를 해왔는데 한국정보화진흥원이 전자정부를 관리했던 기관으로서 시스템에 축적돼 있는 데이터를 어떻게 유통시켜서 기업과 경제활동 일자리 창출에 사용할 지 구체적인 연구가 시급하다"면서 "업무용시스템을 억지로 개방하려면 부작용이 커지기 때문에 적절한 전자정부시스템과 공공데이터개방 간 연계시스템 발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에 우선 한국정보화진흥원은 전자정부사업으로 구축된 대면서비스시스템들의 경우 어떻게 공공데이터와 연동돼서 개방되고 있는지 현황실태 조사에 착수할 방침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