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분기 공공정보화 `봇물`… 기업들 신중모드
“출혈경쟁 되풀이 않을것”
작년 내실없이 몸집만 키워… “유찰되더라도 선택ㆍ집중”
심화영 기자 dorothy@dt.co.kr | 입력: 2014-04-07 19:59
[2014년 04월 08일자 9면 기사]
<?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지난해 새 정부 출범에 따라 공공정보화 발주가 지연됐던 것과 달리, 올해는 2분기 공공IT발주가 쏟아지고 있다. 개정 SW산업진흥법 시행 2년차를 맞은 업계는 사업이 유찰되더라도 선택과 집중을 통해 승부하겠다는 분위기다.
7일 업계에 따르면 시스템통합(SI) 업계는 △기획재정부 디지털예산회계시스템(이하 `디브레인`) △국민건강보험공단 노인장기요양 차세대(300억원규모 예상) △우정사업본부 우 편정보단말기 구축사업(70억원규모 예상) △국세청 금융거래정보분석시스템 구축(80억원규모 예상) △건강보험심사평가원(150억원 규모 예상) 정보화사업 등을 주시하고 있다.
또 한국가스공사(대구)와 한국농어촌공사(나주), 한국자산관리공사(부산), 대한주택보증센터(부산) 등의 지방이전 관련 IT사업들도 줄줄이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기 발주돼 결과를 기다리는 사업들도 있다. 방위사업청의 동부전선 GOP경계과학화 사업은 360억원 규모로 8일까지 1단계를 통과한 업체들은 벤치마킹테스트(BMT)를 통해 가격경쟁을 펼쳐 9∼10월 경 선정된다. 지난해 말 중ㆍ서부전선 GOP 과학화 사업자로는 에스원이 선정됐다.
이처럼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을 제외한 IT회사들에 시장이 열리면서 SI기업들은 사내 제안룸이 모자랄 정도로 분주한 계절을 보내고 있다.
그러나 지난해 저가출혈경쟁 속 외형확대 대비 이익률이 낮았던 만큼 올해는 저울질이 더욱 심해졌다. 실제 공공SI사업의 경우 수익성 불확실성 등으로 인한 잇단 유찰도 여전한 상태다. 일례로 농심NSD는 통합사증정보시스템구축 2차사업을 1차 유찰 이후 단독입찰로 수주했다.
업계 관계자는 "신규구축사업보다는 2차, 3차 연속사업이 대부분이어서 우선 자사가 전문성을 확보한 사업에 뛰어드는 추세"라면서 "경쟁력 없는 사업들을 무모하게 가격으로 수주하는 게 별 의미가 없다고 판단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밖에 대기업이 빠진 공공IT 시장에서 경쟁하는 회사들이 선택과 집중에 나서는 것은 지난해부터 입찰제안요청서(RFP)가 상세화된 것도 한 이유다.
시장에 인력이 한정돼 있는데 주사업자의 경우 자사인력을 30∼40%로 맞추라거나 해당사업분야 근무경력을 3∼5년 가진 프로젝트관리자(PM)가 있어야 한다는 규정강화에 따라 자격조건을 맞추기 어려운 사업도 상당수이기 때문이다.
SI업체 한 대표는 "과거 대기업으로 대거 중견기업 우수 PM들이 이동한 적이 있는데 이 인력들이 시장상황이 바뀌었지만 (자체적으로)재배치되면서 안나왔다"면서 ""우수 PM들은 직접 회사를 차리거나 프리랜서로 뛰는 추세로, 대형 프로젝트를 수행한 경험이 있는 PM 구하기가 하늘의 별 따기"라고 말했다.
심화영기자 dorothy@
[저작권자 ⓒ디지털타임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